728x90 폭발적인감정을스스로통제하여멈추게하는기술2 뇌의 허위 경보와 생존성 분노들 테리는 과대망상 증상을 보이고 있다. 물론 정신과 의사가 처방을 내릴 만큼 심하지는 않지만 스스로를 곤란한 처지에 빠뜨리고도 남을 정도는 된다. 테리는 현실을 계속 왜곡하여 받아들이고 있다. 정확히 말해 위험이 없는데도 있다고 착각하고 있으며, 아무 위협이 없을 때도 자신의 존재가 위험하다고 생각한다. 문제는 테리의 생존지향성 뇌가 위협은 물론 위협이 될 기미만 보여도 전부 찾으라는 명령을 받았다는 데 있다. 테리는 모든 행동을 (가령 누가 자신을 쳐다만 봐도) 과장하고 왜곡하여 현실보다 훨씬 심각하게 받아들인다. 위험한 상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테리의 뇌는 상황을 만들어 낸다. 계속해서 허위 경보를 내보내는 것이다. 안타깝게도 테리의 상태는 점점 심해질 것이다. 그것은 허위 경보가 코르티솔의 분비를, .. 2023. 5. 2. 공포와 트라우마가 인간의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인간의 생존성 분노의 근원, 공포와 트라우마 테리는 "제가 왜 이러는 거죠?"라고 물었다. 사실 그 질문에 대한 적절한 답이 있다. "테리, 내가 어렸을 때 폭행을 당한 것 때문에 뇌에 손상이 간 듯하구나." 과학자들은 1990년대 후반부터 공포와 트라우마가 인간의 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활발히 연구하기 시작했다. 특히 조세프 르두는 이 분야에서 가장 왕성한 연구를 펼친 학자이다. 그의 연구 결과를 간단히 살펴보자. ▶ 감정은 인간이 존재하는 데 더할 나위 없이 중요한 부분이다. 인간이 생존하기 위해 꼭 필요한 정보를 주기 때문이다. 감정은 "집중해, 이건 아주 중요한 거라고, " "저기는 위험하니까 조심해." "이건 잊어버리지 마, 자칫 잘못하면 목숨이 위험하다고." 그리고 고맙게도 "그거 .. 2023. 5. 1.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