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울하는성질죽이기2 현실을 받아들여라 자신이 통제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분명히 하라 체념성 분노를 고치려면 반드시 내가 모든 걸 조절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하지만 두루뭉술한 철학적 문장을 하나 정했다고 전부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즉 카렌은 자신이 클락을 조종할 수 없다는 것을 스스로에게 되풀이해서 환기시켜야 한다. 또한 카렌은 생각을 더욱 구체화시켜야 한다. 의식 깊은 곳에서부터 클락의 밀고 당기기나 심리전, 꼬임에 넘어가서는 안 된다고 자신에게 끊임없이 상기시켜야 한다. 마지막으로 클락이 아이들을 집에 데려오는 시간이나, 클락이 아이들과 함께 있을 때 아이들에게 하는 말이나, 자신에게 소송을 걸고 안 걸고의 여부를 조종할 수 없다는 사실을 받아들여야 한다. 자신의 통제력이 한계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일은 배를 타고 .. 2023. 4. 16. 잠재적 분노를 예방하는 방법/ 의식적 노력 분노가 치솟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불평하기보다는 마음의 평화를 위해 의식적으로 노력하라 잠재적 분노는 자라나는 데 시간이 걸린다. 모래시계에서 모래가 조금씩 떨어지는 모습을 연상해 보라. 지금부터 모래시계의 상자는 모든 분으로부터 자유로울 때 느끼는 평온한 상태라고 가정해 보자. 이런 상태에서는 보통 안정감, 고요함, 즐거움, 만족감을 느낀다. 이제 모래시계 하단은 위쪽과 정반대로 불만족, 불행, 비참함, 자기 연민과 같은 감정이 모이는 공간이라고 하자. 바로 이 모래시계 하단이 잠재적 분노가 쌓이는 곳이다. 하단으로 떨어지는 모래 알갱이 하나하나는 새로운 짜증, 다툼, 도덕적 분노, 혹은 자신이 모욕이라고 인지한 상황, 등을 상징한다. 어떤 모래 알갱이는 오래전 받은 상처를 상징할 수도 있다. 다른 알.. 2023. 4. 16.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