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사회공포증의인지치료3 충격격적인 경험이 사회공포증에 미치는 영향 수줍음도 지나치면 병/ 권정혜외 3 사회공포증을 가진 사람들 중 많은 사람들이 과거 어느 때인가 직접적으로 심리적인 충격을 받은 경험이 있었다고 보고하고 있다. 대체로 사람들 앞에서 어떠한 행동을 하다가 너무 떨리는 바람에 제대로 해내지 못했거나, 다른 사람으로부터 망신을 당했던 일이 포함하고 있다. 사회공포증으로 치료를 받으러 온 한 여자의 경우는 이렇다. 중학교 때 남자 선생님을 속으로 많이 좋았는데 마침 수업 시간에 그 선생님이 질문을 하여 대답을 하다가 너무 떨리는 바람에 대답을 제대로 하기는커녕 그만 자리에 주저앉고 말았다고 한다. 그때 선생님과 아이들이 웃은 것이 머릿속에 콱 박혀서 그 일이 있은 뒤부터는 학교 다니기도 싫어졌고, 친구들이 그때 일을 기억하고 있을 것 같아 친구들과 더 멀어지고.. 2023. 5. 12. 좋지 않은 인상을 줄 만한 행동해 보기 사람들은 누구나 다른 사람에게 좋은 인상을 주고 인정받기를 원합니다. 그래서 가능하면 다른 사람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을 만한 행동이나 말을 하려고 하고, 그렇지 않을 것 같은 행동들은 피하게 됩니다 사회공포증은 남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고자 하는 마음이 지나쳐서 결국은 제대로 행동을 할 수도 없을 만큼 불안해지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스로 분명하게 인식하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마음속에 '이런 행동은 남들이 좋아하지 않을 거야. 이렇게 행동해야 남들이 나를 인정해 주고 좋게 볼 거야'라는 식의 평가기준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도 이 기준에 맞추어 행동하게 됩니다. 사회공포증을 가진 사람들은 이 평가기준이 너무나 엄격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라면 '그럴 수도 있지' 하고 넘어갈 만.. 2023. 5. 10. 사회공포증을 없애는 방법 너무 높은 기준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닌가 우리는 이미 사회공포증을 지닌 사람들이 반사적 생각에 나타나는 인지적 오류를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반사적 생각에 오류가 있는 것처럼 핵심신념에도 인지적 오류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사회공포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핵심신념에는 강박적 부담의 오류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즉 스스로에게 약간의 실수나 결점도 인정하지 않고, 남들에게 완벽한 모습만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생각이 강합니다. 강박적 부담의 오류를 지녔다는 것은 곧 어떠한 상황에서든 혹은 상대방이 누구이든 간에 모든 것을 잘해야 하고, 그래야만 남들로부터 인정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나는 제대로 하는 게 하나도 없어', '나는 평균에도 못 미치는 사람이야', '나는 다른 사람들보다.. 2023. 4. 28.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