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분류 전체보기938 빛을 청산하기 이제는 용서해야 할 시간 "빚을 청산"하는 단계인 것이다. 자신의 상처와 감정들을 처리해 나가면서, 아마도 우리는 누군가가 우리에게 뭔가 빚지고 있다는 느낌을 가졌을지도 모른다. 그것은 유용한 경험이다. 우리가 감정적인 차용증서를 붙들고 있는 부분이 어디이며 우리가 용서해야 할 부분이 어디인지 파악하도록 도와주기 때문이다. 어떤 경우에는 어떤 구체적이고 눈에 보이는 형태로 용서의 행위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예를 들면, 어떤 사람들은 여러 명의 가족들에게 편지를 쓰고 그 위에 가로질러 "청산되었음"이라고 크게 쓴다. 내가 아는 사람들 중에는 상처받은 목록을 불태우거나 묻어버린 사람들도 있다. 그러한 모든 잘못들이 이제는 폐기되었고 묻혀 버렸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말이다. 다시 말하지만, 이러한 유형.. 2023. 5. 9. 다른 사람들과 자신을 풀어주기 "용서야말로 과거의 나쁜 영향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유를 누리게 하는 유일한 길이다"라고 용서를 하기 전에, 먼저 자신에게 행해진 잘못으로 어떤 상처를 받았는지 인식하고 시인해야 합니다. 별로 상처 입지 않은 채 하는 것은 역기능가정에서 흔히 있는 일입니다. 가정에서 받았던 상처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압박감을 당신은 어떻게 느꼈습니까? 당신의 가계도를 살펴보고 관계에 나타난 삼각관계 유형을 살펴보십시오. 그것들의 도움을 받아 당신에게 행해진 잘못들이 이 무엇인지 목록을 모아 보십시오. 이것은 시간이 걸리는 가정입니다. 아래 빈칸에 즉각적으로 마음에 떠오르는 것이 있다면 무엇이든지 열거하십시오. 표면으로 떠오르는 다른 기억들은 일기장에 적는 것도 좋습니다. 내게 행해진 잘못들 1. 2. 3. (가장 압박감을 .. 2023. 5. 8.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경계선을 설정하기 경계선이란 한계를 말한다. 그것은 자신의 땅이 어디서 시작되고 끝나는지 규정짓고, 다른 사람들의 땅과 구별 짓기 위해 자신의 집 주위에 설치한 담과 같다. 역기능 가정에서 우리는 어린 시절에 자신의 개인적인 경계선이 자주 침범당하곤 했다. 신체적 학대와 성적인 학대는 명백한 경계선 침범이다. 부모들이 자녀의 개인적인 경계선을 무시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우리가 안에서 목욕하고 있을 때 문을 열거나 들어오는 것, 십 대 딸이 옷을 갈아입고 있을 때 아버지가 들어오는 것, 부모가 허락을 받지 않고 자녀의 서랍이나 서류를 뒤져보는 것, 심지어 자녀가 열쇠를 잠가 놓은 일기를 몰래 읽는 것 등이다. 이런 것을 자신들의 "권리"라고 생각하는 부모들도 있다. 그러나 이 모든 경우는 중대한 경계선 침.. 2023. 5. 7. 자기 말과 행동의 결과에 대한 상상력 결여 아무렇지 않게 휘둘리는 사람 상상력의 결여도 주위 사람을 아무렇지 않게 휘두른 사람에게 흔히 발견된다. 전 도쿄 도지사 마스조예가 그 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두 번의 이혼 경력이 있으며 두 명의 정부 사이에 아이가 있는데, 그는 싱글맘과 혼외자식이 세상을 살아가기가 얼마나 힘든지 상상해 보지 않았나 보다. 어쩌면 본인은 엘리트라서 이 정도 일은 남에게 용서될 거라고 생각했던 것일까? 이와 같은 상상력 결여는 출산 직전의 아내가 병원에 입원해 있을 때 불륜 사실이 보도되어 의원직을 사퇴하게 된 전 중의원 미야자키 겐스케에게서도 볼 수 있다. 그는 본인의 행동이 아내에게 얼마나 상처가 되는지 상상력이 결여되어 있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도쿄대, 게이오대, 지바대, 의대 남학생들도 남의 상처에 대한 공.. 2023. 5. 6. 분노를 만드는 6가지 비합리적인 반응 분노를 만드는 6가지 비합리적인 반응 분노는 상대방의 부당함 때문에 발생하기도 하지만 자신의 비합리적인 반응 때문에 생기는 것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반응이 분노를 만들어내는지 몇 가지 요인들을 알아보도록 한다. 1. 당위적 사고 당위적 사고란 영어의 'Should'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야 해 , ' '~하지 않으면 안 돼'라는 사고를 말한다. 주로 어려서 '~해야 한다'는 가족 규칙 등으로 인해 그런 사고방식이 형성되어 특별한 일이 없는 한평생 그 사고를 가지고 살아간다.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자신에 대한 당위이다. '나는 어디에서건 최고로 인기가 있어야 해!' '나는 단 한 번이라도 1등을 놓쳐선 안 돼.' 둘째 타인에 대한 당위이다. '사람들은 나에게 항상 친절.. 2023. 5. 5. 해로운 수치심이 사람의 영혼에 악영향 해로운 수치심의 문제는 이를 가진 사람의 영혼에 악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나는 이것을 '영혼이 무너져 내림'이라고 부르겠다. 우리는 단순한 유기체가 아니다. 온전한 영혼이 되기 위해 우리는 일생을 통한 긴 여행에 들어가는 영적인 존재이다. 영적 삶의 방식은 생활에 성장과 확장을 가져온다. 그러므로 영적으로 되는 것은 그들에게 새로움과 창조성을 부여한다. 영적인 것은 존재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이 세상에 존재한다는 말은 우리가 아무것도 아니라는 말과 정면으로 대치한다. 우리가 이 세상에 존재한다는 사실은 이 세상에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며 우리가 단지 존재함으로써 우리가 아무것도 아니라는 소리를 이미 이긴 것이다. 그리고 우리가 세상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것은 우리 본연의 모습이 될 수 있게.. 2023. 5. 4. 이전 1 ··· 125 126 127 128 129 130 131 ··· 157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