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좋은글463 집착하지 않고 현재의 삶을 누리는 방법 우리의 인생은 여행이나 등산과 같다 정상에 올라가겠다는 목표에 너무 집착하여 산을 올라가면, 그 목표에 얽매여 등반 과정에서 느낄 수 있는 기쁨과 상쾌함을 잃어버립니다. 목표에 집착하지 않고 산에 오르는 과정을 즐겨 보십시오. 경치를 보고, 산새의 지저귀는 소리도 듣고, 신선한 공기를 온몸으로 마시며 올라가는 사람들은 말합니다. 이상하게도 올라갈수록 에너지가 고갈되기는커녕, 내면에서 큰 에너지와 힘이 발산되어 심신이 건강해지고 강해짐을 느낀다고, 인생도 같은 이치로 살아야 합니다. 하루하루 그날의 기쁨과 즐거움 살아 있음을 온몸으로 감사하고 행복해하며 정상을 향해 나가야 합니다. 집착하지 않고 현재의 삶을 누리며 살아간다면, 하루하루 에너지와 힘이 더욱더 발산되어 건강해지고 강해집니다. 우리의 인생도 여.. 2023. 5. 1. 모든 중독과 강박적 행동의 근본적인 원인인 수치심 신경증적인 수치심 모든 중독과 강박적 행동의 근본적인 원인이다. 내 입장에서의 강박적/ 중독이 행동에 관한 정의는 "순간의 만족을 얻기 위해 삶 전체를 희생시키는 것이 정신적 행위"이다. 사람들을 중독으로 몰아가는 중심의 깔린 생각은 자신이 열등하고 불안정한 사람이라는 생각이다. 그래서 이 생각을 달래보고자 일과 쇼핑 또는 도박을 통해 몰두하여 잠시 잊으면서 순간적인 만족을 구하려 든다. 모두 정도에서 넘어서서 일 중독자는 일에서, 알코올 중독자는 술에서, 애정의 중독된 사람은 애정 행각에서 각자 즉각적인 위안을 얻으려 든다. 하지만이 모든 것은 내면에 불만족을 보상받으는 행위이며 이에 따른 결과는 오히려 그전보다 더 비참해지며 수치심의 정도가 더 깊어질 뿐이다. 이는 마치 원점으로 돌아오는 순환고리와 .. 2023. 5. 1. 마음과 같이 잘 되지 않아 늘 아쉬움을 느낀다 내 입장만 생각하다 딸이 집에 왔다. 학교 기숙사에서 생활을 하다가 주말이면 종종 집에 오곤 한다. 지금껏 늘 그래 왔던 딸과 나는 어깨동무를 하고서 서로의 등을 두드리며 즐거워했다. 다음 날 아침 엄마가 일을 시키자 딸은 힘든 내색을 두어 차례 했다. 수능을 준비하느라 몇 주 만에 들른 딸이지만 나는 한마디 했다. "너 그게 무슨 행동이냐? 오랜만에 집에 왔으면 '엄마 아빠, 가정일 하시랴 얼마나 힘드세요.' 이렇게 부모님을 위로하고 도와줘야 하는 거 아니냐?" 딸은 눈물을 뚝뚝 흘리며 말했다. "아빠, 학교에서는 친구들에게 뒤처지지 않으려고 얼마나 힘든지 몰라요. 그리고 겉으로는 표현을 잘 못해도 엄마 아빠 위해 하나님께 늘 기도한단 말이에요." 가만히 생각해 보니 이런 일이 발생한 근본 원인은 서로.. 2023. 4. 30. 가족치료사 존 브래드쇼의 이야기 내가 자란 가정의 가족규칙 내가 어쩌면 그렇게까지 유치해질 수 있었는지 믿을 수가 없었다. 내 나이 마흔이 되던 어느 날, 나는 아내와 아이들이 완전히 겁에 질려 공포에 떨 정도로 불같이 화를 내고는 무작정 뛰쳐나와 차를 몰았다. 그러다 정신을 차려보니 모텔 방에 혼자 앉아 있었다. 순간 철저히 혼자라는 느낌이 밀려왔다. 너무도 나 자신이 부끄러웠다. 사실 그때 우리 가족은 파드레 섬에서 휴가를 보내고 있던 중이었다. 도대체 어쩌다 이런 일이 일어나게 됐는지 차근차근 생각해 보았지만 아무것도 알 수가 없었다. 모든 게 혼란스럽고 마치 나쁜 꿈을 꾸다가 갑자기 깨어났을 때처럼 정신없는 그런 느낌이었다. 세상에서 내가 가장 원하던 것이 바로 우리 가족의 사랑과 행복, 친밀감이었는데....., 하지만 이런 식.. 2023. 4. 29. 배우지 않아도 표현 방법이 자연스레 달라지는 방법 알기 쉽게 설명하지 못하는 사람의 가장 큰 문제점 무엇일까? 일반적으로 알기 쉽게 설명하는 사람은 '머리가 좋다'. 무엇이든 잘 알고 있다'라고 여긴다. 그래서 그렇게 하지 못하는 원인을 '머리가 나빠서', 지식이 부족해서'라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과연 정말로 그럴까 지금까지? 지금까지 만나온 사람 중에서 '설명을 잘 알아듣기 힘들었다'. 늘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이해하기 힘들었다' 싶은 사람을 떠올려 보라. 그중에 '학교 성적이 눈에 띄게 좋았다'. '들어가기 힘든 명문대를 졸업했다'는 이야기를 듣는 사람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가? 그들은 그런 이야기를 들을 정도이니 학력이 좋을 테고 간단히 말하자면 '머리가 좋은 사람'일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이런 사람들이 다른 사람에게 알기 쉽게 설명할 수 있는 것.. 2023. 4. 29. 사회공포증을 없애는 방법 너무 높은 기준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닌가 우리는 이미 사회공포증을 지닌 사람들이 반사적 생각에 나타나는 인지적 오류를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반사적 생각에 오류가 있는 것처럼 핵심신념에도 인지적 오류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사회공포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핵심신념에는 강박적 부담의 오류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즉 스스로에게 약간의 실수나 결점도 인정하지 않고, 남들에게 완벽한 모습만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생각이 강합니다. 강박적 부담의 오류를 지녔다는 것은 곧 어떠한 상황에서든 혹은 상대방이 누구이든 간에 모든 것을 잘해야 하고, 그래야만 남들로부터 인정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나는 제대로 하는 게 하나도 없어', '나는 평균에도 못 미치는 사람이야', '나는 다른 사람들보다.. 2023. 4. 28. 이전 1 ··· 48 49 50 51 52 53 54 ··· 78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