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좋은글463 작은 친절이 뜻밖의 행운를 부른다. 어쩌면 기대 이상의 무엇인가를 보여줄 기회는 갑작스럽게 그리고 뜻밖의 형태로 찾아올 수도 있습니다. 미셀 알바림 Michelle Albe-Lim이 경험한 것처럼 말입니다. 그녀는 WLF 인터액티브디벨러프먼트센터 WLF Intweactive Development Center라는 작은 회사를 설립해 꾸려 나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회사 전화번호가 근처 영화관의 번호와 비슷해서 영화 상영 시간이나 영화 관련 정보를 문의하는 사람들의 전화를 종종 받고 있습니다. 어느 날 그녀가 저녁 늦게까지 일하고 있을 때 전화벨이 울렸습니다. 전화를 건 여성은 의 마지막 상영 시간을 알고 싶어 했습니다. 미션은 아이들을 데리고 그 영화를 본 적이 있기 때문에 그녀에게 전화를 잘못 걸었다고 말하는 대신 상영 시간을 일러주고 그.. 2023. 4. 13. 문제는 끊이지 않는다, 바뀌거나 나아질 따름이다 살다 보면 문제가 끊이지 않는다. 건강해지기 위해 피트니스클럽 회원권을 끊으면, 곧 새로운 문제가 생긴다. 체육관에 제시간에 가지 위해 일찍 일어나야 하고 러닝머신에 올라 30분 동안 마약중독자처럼 땀을 뻘 흘려야 하며, 온 사무실에 땀 냄새를 풍기지 않으려면 샤워도 하고 옷도 갈아입어야 한다. 애인과 많은 시간을 보내기 위해 수요일 밤을 데이트의 날로 정하면 또 새로운 문제가 생긴다. 수요일마다 오늘은 무엇을 해야 둘 다 만족할지 궁리하고 근사한 저녁 식사를 위해 도는 마련해야 하며, 문제는 끝없이 계속된다. 단지 바뀌거나 나아질 따름이다. 행복은 일종의 행동이며 활동이다 여기서 핵심은 '해결'이다 문제를 피하거나 아무런 문제가 없는 척하면 불행해진다. 해결 못할 문제가 있다고 생각해도 역시 불행해진다.. 2023. 4. 13. 자식을 친구로 보아라/ 부모-자녀 간 대화 옳은 말을 해주는 것이 항상 오를까? 사춘기 청소년들을 둔 부모라면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 자녀와 대화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를 아이들은 부모 하는 하루에 1시간 아니 30분 도 대화하지 않으면서 친구와의 대화는 끊어질 줄 모릅니다. 도대체 그 차이는 어디서 오는 걸까? 부모-자식 간 대화법과 친구와의 대화법을 비교해 보면 그 답을 찾을 수 있다. 자식: 아, 내일 두발 검사한다는데 머리 자르기 싫어, 짜증 나 죽겠네. 부모: 학생이 외모를 단정하게 하고 다녀야지. 그리고, '짜증 나 죽겠네'가 뭐니, 그런 말 좀 쓰지 마라. 부모는 항상 자식에게 옳은 말을 해주려고 한다. 설령 본인이 그렇게 살지 못하더라도 말입니다. 문제는 옳은 말을 하는 것이 옳은가. 적절한가 하는 것입니다. 부모와 자녀 간.. 2023. 4. 13. 대기 만성형 아이들을 기다려야 한다. 지능 개발은 실제로 둥근 종 모양 곡선을 그리며 완만하게 일어나지 않습니다. 날카로운 급성장도 보이고 헤쳐나가야 할 거친 후퇴도 겪습니다. 그런데도 왜 영리한 아이들을 이토록 일찍 선별하는 것이 당연해 보이는 걸까요? 우리는 선천적인 재능을 발견하고 길러주기 위해서 이러한 제도를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이 제도는 상당히 많은 아이들을 탈락시키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타고난 재능을 발견하지 못하고 지나쳐 버립니다. "그럼 대기만성형 아이들은 어떻게 합니까?라는 질문이 오히려 진부하게 들릴 정도입니다. 그러나 진정 우월한 두뇌의 인지발달 과정을 보면 "대기만성"이 최적이 발달 속도일 수 있다고 신경과학은 말합니다. 이 대기만성형 아이들이 활짝 꽃을 피울 때까지 평생이 걸리는 게 아닙니다. 2 학년 말까.. 2023. 4. 12. 거짓말은 지능과 상관관계가 있다 거짓말은 문제가 있다는 신호이다. 우리는 모두 진실함을 어린아이들이 지녀야 할 최고의 덕목으로 꼽고 있지만, 사실은 거짓말 쪽이 훨씬 더 앞선 기술입니다. 거짓말을 하려면 먼저 진실을 이해해야 되고 지적으로도 대안이 될 수 있는 사실을 만들어내야 하며 새롭게 만든 사실을 타인에게 확신 있게 전달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거짓말은 정직에는 필요하지 않은 진보한 인지 능력과 사회적 기술을 필요로 합니다. "거짓말은 발달의 이정표입니다"라고 탤워 박사는 결론지었습니다. 실제로 만 2, 3세에 거짓말을 시작하거나 만 4,5세에 언어로 진실을 숨길 수 있는 아이들은 학업 실력을 평가하는 시험에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거짓말은 분명 지능과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거짓말의 대처해야 합니다".. 2023. 4. 12. 내 아이를 움직이는 최고의 기술은? 야단치지 말고 상상하게 하라 아이가 식당에서 난장 치면 어떻게 하나? 대부분 "공공장소에서는 얌전히 있어야지..."운운하며 가르치지 않는가? 나 어렸을 때는 '호랑이 온다' '순사 온다'가 엄마의 단골 멘트였습니다. 엄마가 호랑이 온다고 으름장을 놓으면 아이는 호랑이를 상상하기 시작합니다. 어떻게 생겼지? 얼마나 무섭길래 엄마가 눈을 동그랗게 하고 겁나는 표정을 지을까 상상의 나래가 시작됩니다. 결국 아이는 거짓말인 줄 알면서도 두려움이 생겨 얼마 말씀을 듣게 됩니다. 지식과 상상력이 겨루면 언제나 상상력이 이깁니다. 위대한 업적은 언제나 상상에서 시작해 왔습니다. 게다가 상상력을 오래 지속됩니다. 그래서 이성이나 지성을 키우는 것보다 상상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상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상상력을 .. 2023. 4. 12. 이전 1 ··· 60 61 62 63 64 65 66 ··· 78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