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좋은글468 작은 목표에 초점을 맞추어라 작은 목표에 초점을 맞추어라 매년 1월이면 사람들은 새해 결심을 노트나 다이어리에 적습니다. 더 좋은 직장을 구하겠다, 살을 빼겠다, 저축을 늘리겠다. 콜레스테롤 섭취를 줄이겠다. 완벽한 배우자를 만나겠다 등, 하나같이 진취적인 내용들입니다. 물론 원대한 계획들 가운데 대부분이 성촉절(우리나라의 경칩에 해당) 카드가 상범에 등장하기 전에 유명무실해집니다. 왜 그럴까요? 그것은 결심이 너무 원대하고 실행보다는 결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10파드 감량'은 목표가 될 수 있지만 그 자체가 목표를 달성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달성 가능한 작은 목표들에 초점을 맞출 때 진정한 변화가 지속적으로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체중을 줄이고 싶다면 당신이 지킬 수 있는 작은 목표부터 세우십시오. .. 2023. 4. 8. 직감은 거짓말하지 않는다 / 내적 신호 직감은 거짓말하지 않는다 / 내적 신호 현대사회에서 우리는 비록 그랑프리 에이서만큼 빠른 속도로 달려야 할 때가 종종 있습니다. 그럴 때 믿고 의지할 직감이 없다면 그것은 상당히 힘든 일입니다. 직감은 다년간의 경험과 환경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바탕을 연마되는 것입니다. 사실 우리는 하루도 빠짐없이 24시간 내내 액셀에서 발을 떼지 않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그렇다면 브레이크를 밟아야 할 때를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불확실한 무엇인가에 대응해야 할 때는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답은 간단합니다. 속도를 낮추면 됩니다. 주변의 갖가지 신호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입니다. 외적 신호도 중요하지만 마음속에 보내는 내적 신호도 매우 중요합니다. 린다 카플란 탈러˚로빈 코발 지음 / 정준희 옮김 2023. 4. 8. 상처 입은 치유자- 부모 상처 입은 치유자 - 부모 상담의 주된 임무는 내담자의 고통을 완전히 제거해서 멸균시키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내담자의 고통을 더 깊은 곳까지 내려가서 함께 견뎌 주는 것입니다. 그때 비로서 내담자는 그 고통을 회피하기 위해서 애써 왔던 모든 긴장을 내려놓고 그제야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게 됩니다. 신기하게도 고통은 직시할 때 오히려 고통으로서의 효력이 사라집니다. 사실 심리적 고통의 대부분은 고통을 회피하려고 한 결과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 모든 것들이 가능하려면 상담자가 먼저 자신의 고통의 속을 들어가서 자신의 문제를 먼저 치유해야 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부모는 상담자와 많이 닮아 있습니다. 부모가 먼저 자신의 상처를 회복하지 않으면 그 상처가 고스란히 자녀에게 전해지게 되어 있기 때문입니.. 2023. 4. 7. 상품 지식과 응용 능력 상품 지식 응용 능력 대부분의 기업들이 경쟁력 확보를 위해 끊임없이 새로운 상품들을 쏟아내고 있습니다. 하루가 다르게 등장하는 신기술로 인해서 상품의 기능이 고도화되면서 고객들의 응용 방법도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상품 지식과 응용 능력 없이는 상품을 판매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좋은 상품은 물론이려니와 설사 나쁜 상품이라 하더라고 세일즈맨은 자신이 판매하고 있는 상품에 대해 확고한 자부심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자사의 상품에 깊은 애정을 갖고 진심으로 사랑해야만 고객에게도 그만큼 가치 있는 판매를 할 수 있습니다. 상품의 기능에 대해 충분한 사전 지식을 습득하고 사용 방법에도 통달해야 한다는 말입니다. 그렇게 하려면 우선 고객의 입장에서 상품을 연구하고 사용 방법에 따.. 2023. 4. 7. 질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결과 질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결과 똑같은 영업을 하면서도 어떤 사람은 비전이 없다고 떠나고 어떤 사람은 비전을 품고 남습니다. 왜 이런 형상이 생기는 걸까요 질문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떠나는 영업인은 대개 부정적인 질문을 합니다. 다음과 같은 질문이 있습니다. ▶내가 왜 이 고생을 하지? ▶우리 회사는 지원이 왜 이리 적어? ▶다른 회사보다 판매수수료가 적은 이유가 도대체 뭐야? ▶적성에도 안 맞는 일을 내가 왜 계속해야 하나? ▶어디 쉽게 돈 버는 방법은 없나? 이처럼 부정적인 영업인은 실패할 수밖에 없는 질문을 합니다. 질문의 초점을 문제에 맞추고 불평만 합니다. 그러나 문제의 원인을 비난하고 불평한다고 문제가 해결될까요? 아닙니다. 이렇게 부정적인 질문만을 계속하면 열정은 식고 비전은 사라져 더 이.. 2023. 4. 7. "모든 것은 내 탓" 고정관념 "모든 것은 내 탓" 고정관념 '내 생각이 머무는 곳에 내 인생이 있고 현재 내가 불행하다고 생각하는 모든 것은 다 내 탓이요, 자기 탓인 것입니다." 나는 시골 아저씨처럼 순박하고 평범하게 보이는 대리점 사장님의 입에서 그런 말이 나올 줄 꿈에도 상상하지 못했습니다. 만약에 화장품을 취급하는 영업회사라면 어떻게 해서든지 듣기 좋은 말로 자신들이 취급하는 화장품의 효능을 최고라고 추켜세우면서 세일즈 하는 방법을 가르치고 매출을 많이 올리도록 격려하는 것이 당연한 일 아닌가? 그런데 그런 것을 교육하기는커녕 처음부터 대뜸 내가 겪고 있는 실패와 불행이 바로 '네 탓!'이라고 질타하면서 생각부터 먼저 바꾸라는 말씀에 나는 갑자기 눈물이 앞을 가렸습니다. "내가 성공하는 것은 스스로 성공하겠다고 마음먹었기 때.. 2023. 4. 7. 이전 1 ··· 64 65 66 67 68 69 70 ··· 78 다음 728x90